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프링2] 9장. 연관관계 매핑

23-24/Spring 2

by YUZ 유즈 2023. 12. 1. 10:00

본문

728x90

 

 

RDBMS를 사용할 때는 테이블 하나만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기란 불가능합니다. 대체로 설계가 복잡해지면 각 도메인에 맞는 테이블을 설계하고 연관관계를 설정해서 조인(Join) 등 의 기능을 활용합니다. JPA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엔터티 간의 연관관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객체와 테이블의 성질이 달라 정확한 연관관계를 표현할 수는 없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JPA에서 이러한 제약을 보완하면서 연관관계를 매핑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9.1 연관관계 매핑 종류와 방향

연관관계를 맺는 두 엔티티 간에 생성할 수 있는 연관관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One To One : 일대일
  • One To Many : 일대다
  • Many To One : 다대일
  • Many To Many : 다대다

 

연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한 가계가 재고관리시스템을 통해 상품을 관리하고 있다고 해봅시다. 재고로 등록돼 있는 상품 엔티티에는 가게로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정보 엔티티가 매핑돼 있습니다. 공급 업체 입장에서 보면 한 가게에 납품하는 상품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므로 상품 엔티티와는 일대다 관계가 되며, 상품 입장에서 보면 하나의 공급업체에 속하게 되므로 다대일 관계가 됩니다. 어떤 엔티티를 중심으로 연관 엔티티를 보느냐에 따라 연관관계의 상태가 달라집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두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설정하면 외래키를 통해 서로 조인해서 참조하는 구조로 생성되지만 JPA를 사용하는 객체지향 모델에서는 엔티티 간 참조 방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베이스와 관계를 일치시키기 위해 양방향으로 설정해도 무관하지만 비즈니스 로직의 관점에서 봤을 때는 단방향 관계만 설정해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단방향과 양방향 관계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단방향: 두 엔티티의 관계에서 한쪽의 엔티티만 참조하는 형식입니다.
• 양방향: 두 엔티티의 관계에서 각 엔티티가 서로의 엔티티를 참조하는 형식입니다.

 


연관관계가 설정되면 한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값을 외래키로 갖게 됩니다. 이런 관계에서는 주인(Owner)이라는 개념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외래키를 가진 테이블이 그 관계의 주인이 되며. 주인은 외래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 엔티티는 읽는 작업만 수행할 수 있습니다.

 

 

 


9.2 프로젝트 생성


이번 장에서는 내용에 집중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겠습니다. 스프링 부트 버전은 이전과 같은 2.5.6 버전으로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설정합니다.


• groupld: com,springboot
• artifactid: relationship
• name: relationship
• Developer Tools: Lombok, Spring Configuration Processor
• Web: Spring Web
• SQL: Spring Data JPA. MariaDB Driver

 


그리고 8장에서 사용한 소스코드를 다음과 같이 그대로 가져와 사용합니다. 이에 따라 queryDSL의 의존성과 플러그인 설정을 Pom.xml 파일에 그대로 추가해야 합니다.

 

 

 

9.3 일대일 매핑

 

9.3.1 일대일 단방향 매핑

 

먼저 두 엔티티 간에 일대일 매핑을 만들어보겠습니다. 하나의 상품에 하나의 상품정보만 매핑되는 구조로, ProductDetail 엔티티를 작성합니다. 

@Entity
@Table(name = "product_detail")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Detail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description;

    @OneToOne
    @JoinColumn(name = "product_number")
    private Product product;
}

 

 

@OneToOne 어노테이션은 다른 엔티티 객체를 필드로 정의했을 때 일대일 연관관계로 매핑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뒤이어 @JoinColum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매핑할 외래키를 설정합니다. @JoinColum 어노테이션은 기본값이 설정돼 있어 자동으로 이름을 매핑하지만 의도한 이름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name 속성을 사용해 원하는 칼럼명을 지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Joincolum을 선언하지 않으면 엔티티를 매핑하는 중간 테이블이 생기면서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 좋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JoinColum 어노테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name: 매핑할 외래키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 referencedColumnName: 외래키가 참조할 상대 테이블의 칼럼명을 지정합니다.
 foreignkey: 외래키를 생성하면서 지정할 제약조건을 설정합니다(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등).

 

public interface ProductDetail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roductDetail, Long> {
}

 

생성된 상품정보 엔티티 객체들을 사용하기 위해 리포지토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합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roductDetailRepositoryTest {
    @Autowired
    ProductDetailRepository productDetailRepository;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Test
    public void saveAndReadTest1(){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스프링부트 JPA");
        product.setPrice(5000);
        product.setStock(500);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ProductDetail productDetail = new ProductDetail();
        productDetail.setProduct(product);
        productDetail.setDescription("스프링 부트와 JPA를 함께 볼 수 있는 책");
        
        productDetailRepository.save(productDetail);
        
        System.out.println("savedProduct: " + productDetailRepository.findById(
                productDetail.getId()).get().getProduct());

        System.out.println("savedProductDetail: " + productDetailRepository.findById(
                productDetail.getId()).get());
        
    }
}

 

 

상품과 상품정보에 매핑된 리포지토리에 대해 의존성 주입을 받습니다.

ProductDeatil 객체에서 Product 객체를 일대일 단방향 연관관계를 설정했기 때문에 ProductDetailRepository에서 ProductDetail 객체를 조회한 후 연관관계 매핑된 Product 객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test를 실행한 후, select 구문을 보면 ProductDetail 객체와 Product 객체가 함께 조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조회하는 것을 '즉시 로딩'이라고 합니다. left outer join이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left outer join이 수행되는 이유는 @OneToOne 어노테이션 때문입니다.

 

//
// Source code recreated from a .class file by IntelliJ IDEA
// (powered by FernFlower decompiler)
//

package jakarta.persistence;

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Policy;
import java.lang.annotation.Target;

@Target({ElementType.METHOD, ElementType.FIELD})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OneToOne {
    Class targetEntity() default void.class;

    CascadeType[] cascade() default {};

    FetchType fetch() default FetchType.EAGER;

    boolean optional() default true;

    String mappedBy() default "";

    boolean orphanRemoval() default false;
}

 

 

이후에 더 자세히 살펴볼 예정이므로 여기서는 fetch() 요소와 optional() 요소만 보겠습니다. @OneToone 어노테이션은 기본 fetch 전략으로 EAGER. 즉 즉시 로딩 전략이 채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optional() 메서드는 기본값으로 true가 설정돼 있습니다. 기본값이 true인 상태는 매핑되는 값이 nullable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드시 값이 있어야 한다면 ProductDetail 엔티티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할 수 있습니다.

 

@Entity
@Table(name = "product_detail")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Detail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description;

    @OneToOne(optional = false)
    @JoinColumn(name = "product_number")
    private Product product;
}

 

@OneToone 어노테이션에 'optional = false' 속성을 지정한 경우에는 left outer join이 inner join으로 바뀌어 실행됩니다. 이처럼 객체에 대한 설정에 따라 JPA는 최적의 쿼리를 생성해서 실행합니다.

이후 내용을 진행하기 위해 @OneToOne에 적용했던 ' optional = false' 속성은 제거하겠습니다.

 

9.3.2 일대일 양방향 매핑


이번에는 앞에서 생성한 일대일 단방향 설정을 양방향 설정으로 변경해 보겠습니다. 사실 객체에서의 양방향 개념은 양쪽에서 단방향으로 서로를 매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duct 엔티티에 일대일 양방향 매핑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Entity
@Table(name="product")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number;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stock;

    @OneToOne
    private ProductDetail productDetail;

}

 

그리고 저번 시간에 사용한 8.3 을 실행하면 left outer join이 설정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양쪽에서 외래키를 가지고 left outer join이 두 번이나 수행되는 경우는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실제 데이터베이스에서도 테이블 간 연관관계를 맺으면 한쪽 테이블이 외래키를 가지는 구조로 이뤄집니다. 바로 앞에서 언급한 '주인' 개념입니다.

 

JPA에서도 실제 데이터베이스의 연관관계를 반영해서 한쪽의 테이블에서만 외래키를 바꿀 수 있도록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경우 엔티티는 양방향으로 매핑하되 한쪽에게만 외래키를 줘야 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속성 값이 mappedBy입니다. mappedBy는 어떤 객체가 주인인지 표시하는 속성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Entity
@Table(name="product")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number;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stock;

    @OneToOne(mappedBy = "product")
    private ProductDetail productDetail;

}

 

mappedBy에 들어가는 값은 연관관계를 갖고 있는 상대 엔티티에 있는 연관관계 필드의 이름이 됩니다. ProductDetail 엔티티가 Product 엔티티의 주인이 되는 것입니다. 

 

 

양방향으로 연관관계가 설정되면 ToString을 사용할 때 순환참조가 발생하여 테스트 코드 실행 시 toString을 실행하는 시점에서 StackOverflowError가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대체로 단방향으로 연관관계를 설정하거나 양방향 설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순환참조 제거를 위해 exclude를 사용해 ToString에서 제외 설정을 하 는 것이 좋습니다.

 

    @OneToOne(mappedBy = "product")
    @ToString.Exclude
    private ProductDetail productDetail;

 

 

 

 

9.4 다대다, 일대다 매핑

 

상품 테이블과 공급업체 테이블은 상품 테이블의 입장에서 볼 경우에는 다대일, 공급업체 테이블의 입장에서 볼 경우에는 일대다 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

 

 

9.4.1 다대일 단방향 매핑

먼저 공급업체 테이블에 매핑되는 엔티티클래스를 만들겠습니다.

 

@Entity
@Table(name="provid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vid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그 후 상품 엔티티에 필드를 추가합니다.

@Entity
@Table(name="product")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number;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stock;

    @OneToOne(mappedBy = "product")
    @ToString.Exclude
    private ProductDetail productDetail;

    @ManyToOne
    @JoinColumn(name = "provider_id")
    @ToString.Exclude
    private Provider provider;
}

 

일반적으로 외래키를 갖는 쪽이 주인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경우 상품 엔티티가 공급업체 엔티티의 주인입니다. 

 

 

그 후 ProviderRepository를 생성합니다. 

public interface Provid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rovider, Long> {
}

 

 

 

이제 ProductRepository를 활용해 테스트해봅시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rovid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viderRepository providerRepository;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Test
    void relationshipTest1(){
        Provider provider = new Provider();
        provider.setName("corner 물산");
        
        providerRepository.save(provider);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가위");
        product.setPrice(5000);
        product.setStock(500);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System.out.println("product: " + productRepository.findById(1L)
                .orElseThrow(RuntimeException::new));

        System.out.println("provider: " + productRepository.findById(1L)
                .orElseThrow(RuntimeException::new).getProvider());

    }
}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쿼리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provider_id 값만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product 테이블에 @JoinColum에 설정한 이름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값을 선정해서 추가하게 됩니다. 또한 Product 엔티티에서 단방향으로 Provider 엔티티 연관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ProductRepository만으로 Provider 객체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9.4.2 다대일 양방향 매핑

 

앞에서 상품 엔티티와 공급업체 엔티티 사이에 다대일 단방향 연관관계를 설정했습니다. 이제 반대로 공급업체를 통해 등록된 상품을 조회하기 위한 일대다 연관관계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JPA에서는 이처럼 양쪽에서 단방향으로 매핑하는 것이 양방향 매핑 방식입니다.

 

이번에는 공급업체 엔티티에서만 연관관계를 설정합니다.

@Entity
@Table(name="provid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vider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rovider", fetch = FetchType.EAGER)
    @ToString.Exclude
    private List<Product> productList = new ArrayList<>();
}

 

 

일대다 연관관계의 경우 여러 상품 엔티티가 포함될 수 있어 컬렉션(collection, List, Map) 형식으로 필드를 생성합니다. 이렇게 @OneToMany가 붙은 쪽에서 @JoinColum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상대 엔티티에 외래키가 설정됩니다. 또한 롬복의 ToString에 의해 순환참조가 발생할 수 있어 ToString에서 제외 처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6번 줄처럼 'fetch = FetchType. EAGER'로 설정한 것은 @OneToMny의 기본 fetch 전략이 Lazy이기 때문에 즉시 로딩으로 조정한 것입니다. 앞으로 진행할 테스트에서 지연 로딩 방식을 사용하면 'no Session'으로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정했습니다.


Provider 엔티티 클래스를 수정해도 애플리케이션을 가동해 보면 칼럼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mappedBy로 설정된 필드는 칼럼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양쪽에서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있을 때 RDBMS의 형식처럼 사용하기 위해 mappedBy를 통해 한쪽으로 외래키 관리를 위임한 것입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rovid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viderRepository providerRepository;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Test
    void relationshipTest(){
        Provider provider = new Provider();
        provider.setName("corner 물산");

        providerRepository.save(provider);


        Product product1 = new Product();
        product1.setName("펜");
        product1.setPrice(1000);
        product1.setStock(1000);
        product1.setProvider(provider);

        Product product2 = new Product();
        product2.setName("가방");
        product2.setPrice(5000);
        product2.setStock(300);
        product2.setProvider(provider);


        Product product3 = new Product();
        product3.setName("모자");
        product3.setPrice(500);
        product3.setStock(50);
        product3.setProvider(provider);

        productRepository.save(product1);
        productRepository.save(product2);
        productRepository.save(product3);


        List<Product> productList = providerRepository.findById(provider.getId()).get().getProductList();
    
        for(Product product: productList){
            System.out.println(product);
        }
    }
}

 

다음과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Provider를 등록한 후 각 Product에 객체를 설정하는 작업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Provider 엔티티 클래스는 Product 엔티티와의 연관관계에서 주인이 아니기 때문에 외래키를 관리할 수 없습니다. 만약 앞의 예제에서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이 아니라 Provider 엔티티에 정의한 productList 필드에 Product 엔티티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에 레코드를 저장하게 되면 Provider 엔티티 클래스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9.4.3 일대다 단방향 매핑

 

앞에서 다대일 단방향, 양방향 매핑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일대다 단방향 매핑을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로 일대다 양방향 매핑은 다루지 않을 예정입니다. @OneToMany를 사용하는 입장에서 어느 엔티티 클래스의 주인이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먼저 상품 분류 엔티티와 레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Entity
@Table(name="categor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
public class Categor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unique = true)
    private String code;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fetch = FetchType.EAGER)
    @JoinColumn(name = "category_id")
    private List<Product> products = new ArrayList<>();
}
public interface Category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Category, Long> {
}

 

상품 분류 엔티티에서 @OneToMany와 @JoinColum을 사용하면 상품 엔티티에서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아도 일대다 단방향 연관관계가 매핑됩니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JoinColum 어노테이션은 필수 사항은 아닙니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중간 테이블로 Join 테이블이 생성되는 전략이 채택됩니다.


지금 같은 일대다 단방향 관계의 단점은 매핑의 주체가 아닌 반대 테이블에 외래키가 추가된다는 점입니다. 이 방식은 다대일 구조와 다르게 외래키를 설정하기 위해 다른 테이블에 대한 update 쿼리를 발생시킵니다.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CategoryRepositoryTest {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Autowired
    CategoryRepository categoryRepository;
    
    
    @Test
    void relationshipTest(){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스프링부트 JPA");
        product.setPrice(5000);
        product.setStock(500);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Category category = new Category();
        category.setCode("S1");
        category.setName("도서");
        category.getProducts().add(product);
        
        List<Product> productList = categoryRepository.findById(1L).get().getProducts();

        for(Product foundProduct:productList){
            System.out.println(product);
        }
    }
    
}

 

위 테스트 코드를 실행시키면 일대다 연관관계에서는 위와 같이 연관관계 설정을 위한 update 쿼리가 발생합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는 다대일 연관관계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9.5 다대다 매핑

다대다(M:N) 연관관계는 실무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구성입니다. 다대다 연관관계를 상품과 생산업체의 예로 들자면 한 종류의 상품이 여러 생산업체를 통해 생산될 수 있고. 생산업체 한 곳이 여러 상품을 생산할 수도 있습니다.

 

다대다 연관관계에서는 각 엔티티에서 서로를 리스트로 가지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교차 엔티티라고 부르는 중간 테이블을 생성해서 다대다 관계를 일대다 또는 다대일 관계로 해소합니다.

 

 

앞의 그림 9.13과 같은 연관관계를 가진 생산업체 엔티티와 레포지토리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Entity
@Table(name="produc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er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code;
    
    private String name;
    
    @ManyToMany
    @ToString.Exclude
    private List<Product> productList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Product(Product product){
        productList.add(product);
    }
}

 

public interface Produc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Producer, Long> {
}

 

 

위 예제의 상품 엔티티에 적용한 것과 같이 다대다 연관관계는 @ManyToMany 어노테이션으로 설정합니다. 리스트로 필드를 가지는 객체에서는 외래키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JoinColum은 설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렇게 엔티티를 생성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생산업체 테이블이 생성되고 별도의 외래키가 추가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로 중간 테이블이 생성됩니다.

 

중간 테이블을 별도의 이름으로 설정하고 싶다면 @ManyToMany 어노테이션 아래 @JoinTable(name = "이름")으로 어노테이션을 정의하면 됩니다. 

 

리포지토리를 통해 생산업체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조작이 가능합니다. 그럼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봅시다.

 

public class Produc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ducerRepository producerRepository;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void relationshipTest(){
        Product product1 = saveProduct("동글펜", 400, 1000);
        Product product2 = saveProduct("네모 공책", 200, 200);
        Product product3 = saveProduct("지우개", 300, 1400);
        
        Producer producer1 = saveProducer("flature");
        Producer producer2 = saveProducer("wikibooks");
        
        producer1.addProduct(product1);
        producer1.addProduct(product2);

        producer2.addProduct(product2);
        producer2.addProduct(product3);
    
        producerRepository.saveAll(Lists.newArrayList(producer1,producer2));

        System.out.println(producerRepository.findById(1L).get().getProductList());
    }
    
    private Product saveProduct(String name, Integer price, Integer stock){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name);
        product.setPrice(price);
        product.setStock(stock);

        return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

    private Producer saveProducer(String name){

        Producer producer = new Producer();
        
        producer.setName(name);

        return  productRepository.save(producer);
    }
}

 

위 예제에서는 가독성을 위해 리포지토리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부분을 별도 메서드로 구현했습니다. 이 경우 리포지토리를 사용하게 되면 매번 트랜잭션이 끊어져 생산업체 엔티티에서 상품 리스트를 가져오는 작업이 불가능합니다.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테스트 메서드에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지정해 트랜잭션이 유지되도록 구성해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위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연관관계를 설정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생산업체 엔티티에서 상품 리스트를 가져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의 테스트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면 product 테이블과 producer 테이블에 레코드가 추가되지 만 보여지는 내용만으로는 연관관계 설정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다대다 연관관계 설정을 통해 생성된 중간 테이블에 연관관계 매핑이 돼 있기 때문입니다. 중간 테이블을 확인하면 앞서 설정한 연관관계에 맞춰 양 테이블의 기본키를 매핑한 레코드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9.5.2 다대다 양방향 매핑

@Entity
@Table(name="product")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number;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ng nam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pric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Integer stock;

    @OneToOne(mappedBy = "product")
    @ToString.Exclude
    private ProductDetail productDetail;

    @ManyToOne
    @JoinColumn(name = "provider_id")
    @ToString.Exclude
    private Provider provider;
    
    @ManyToMany
    @ToString.Exclude
    private List<Producer> producers = new ArrayList<>();
    
    public void addProducer(Producer producer){
        this.producers.add(producer);
    }
}

 

생산업체에 대한 다대다 연관관계를 위처럼 설정합니다. 필요에 따라 mappedBy 속성을 사용해 두 엔티티 간 연관관계의 주인을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중간 테이블이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구조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Public class Produc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ducerRepository producerRepository;

    @Autowired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void relationshipTest2(){
        Product product1 = saveProduct("동글펜", 400, 1000);
        Product product2 = saveProduct("네모 공책", 200, 200);
        Product product3 = saveProduct("지우개", 300, 1400);

        Producer producer1 = saveProducer("flature");
        Producer producer2 = saveProducer("wikibooks");

        producer1.addProduct(product1);
        producer1.addProduct(product2);
        producer2.addProduct(product2);
        producer2.addProduct(product3);

        product1.addProducer(producer1);
        product2.addProducer(producer2);
        product2.addProducer(producer1);
        product3.addProducer(producer2);

        producerRepository.saveAll(Lists.newArrayList(producer1,producer2));
        productRepository.saveAll(Lists.newArrayList(product1, product2, product3));

        System.out.println(producerRepository.findById(1L).get().getProductList());
        System.out.println(productRepository.findById(2L).get().getProducers());

    }

    private Product saveProduct(String name, Integer price, Integer stock){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name);
        product.setPrice(price);
        product.setStock(stock);

        return  productRepository.save(product);
    }

    private Producer saveProducer(String name){

        Producer producer = new Producer();

        producer.setName(name);

        return  productRepository.save(producer);
    }
}

 

다음과 같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합니다. 여기에 양방향 연관관계 설정을 위해 연관관계 설정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각 엔티티에 연관된 엔티티를 출력하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대다 연관관계를 설정하면 중간 테이블을 통해 연관된 엔티티의 값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다만 다대다 연관관계에서는 중간 테이블이 생성되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쿼리가 생길 수 있습니다. 즉, 관리하기 힘든 포인트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다대다 연관관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간 테이블을 생성하는 대신 일대다 다대일로 연관관계를 맺을 수 있는 중간 엔티티로 승격시켜 JPA에서 관리할 수 있게 생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9.6 영속성 전이


영속성 전이(cascade)특정 엔티티의 영속성 상태를 변경할 때 그 엔티티와 연관된 엔티티의 영속성에도 영향을 미쳐 영속성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연관관계와 관련된 어노테이션을 보면 위와 같이 cascade()라는 요소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어노테이션은 영속성 전이를 설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cascade() 요소와 함께 사용하는 영속성 전이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ALL 모든 영속 상태 변경에 대해 영속성 전이를 적용
PERSIST 엔티티가 영속화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영속화
MERGE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병합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병합
REMOVE 엔티티를 제거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제거
REFRESH 엔티티를 새로고침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새로고침
DETACH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제외하면 연관된 엔티티도 제외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영속성 전이에 사용되는 타입은 엔티티 생명주기와 연관이 있습니다. 한 엔티티가 위 표와 같이 cascade 요소의 값으로 주어진 영속 상태의 변경이 일어나면 매핑으로 연관된 엔티티에도 동일한 동작이 일어나도록 전이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cascade() 요소의 리턴 타입은 배열 형식입니다. 이 말은 개발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cascade 타입을 골라 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제 영속성 전이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사용할 엔티티는 상품 엔티티와 공급업체 엔티티입니다.
예를 들어. 한 가게가 새로운 공급업체와 계약하며 몇 가지 새 상품을 입고시키는 상황에 어떻게 영속성 전이가 적용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엔티티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경우로 영속성 전이 타입으로 PERSIST를 지정하겠습니다.

 

@Entity
@Table(name="provid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vider extends BaseEntity{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rovider", cascade = CascadeType.PERSIST)
    @ToString.Exclude
    private List<Product> productList = new ArrayList<>();
}

 

그리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rovid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viderRepository providerRepository;

    @Autowired
    ProducerRepositoryTest productRepository;

    @Test
    void cascadeTest(){
        Provider provider = saveProvider("new provider");

        Product product1 = saveProduct("동글펜", 400, 1000);
        Product product2 = saveProduct("네모 공책", 200, 200);
        Product product3 = saveProduct("지우개", 300, 1400);
        
        product1.setProvider(provider);
        product2.setProvider(provider);
        product3.setProvider(provider);
        
        provider.getProductList().addAll(Lists.newArrayList(product1, product2, product3));
        
        providerRepository.save(provider);

    }

    private Product saveProduct(String name, Integer price, Integer stock){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name);
        product.setPrice(price);
        product.setStock(stock);

        return  product;
    }

    private Provider saveProvider(String name){

        Provider provider = new Provider();

        provider.setName(name);

        return  provider;
    }
}

 

 

영속성 전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객체에는 영속화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연관 관계만 설정했습니다. 영속성 전이가 수행되는 부분은 아래의 코드가 실행될 때입니다. 

 

providerRepository.save(provider);

 

지금까지는 엔티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위해 각 엔티티를 저장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영속성 전이를 사용하면 부모 엔티티가 되는 Provider 엔티티만 저장하면 코드에 작성돼 있는 Cascade.PERSIST에 맞춰 상품 엔티티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특정 상황에 맞춰 영속성 전이 타입을 설정하면 영속 상태의 변화에 따라 연관된 엔티티들의 동작도 함께 수행할 수 있어 개발의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다만 자동 설정으로 동작하는 코드들이 정확히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REMOVE와 REMOVE를 포함하는 ALL 같은 타입을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의도치 않게 모두 삭제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타입보다 더욱 사이드 이펙트(side effect)를 고려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9.6.2 고아 객체


JPA에서 고아(orphan)란 부모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끊어진 엔티티를 의미합니다. JPA에는 이러한 고아 객체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물론 자식 엔티티가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면 이 기능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예제에서 사용되는 상품 엔티티는 다른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많이 설정돼 있지만 그 부분은 예외로 두고 테스트를 진행하겠습니다.

 


고아 객체를 제거하는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급업체 엔티티를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Entity
@Table(name="provider")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callSuper = true)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vider extends BaseEntity{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rovider", cascade = CascadeType.PERSIST, orphanRemoval = true)
    @ToString.Exclude
    private List<Product> productList = new ArrayList<>();
}

 

 

그리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합니다.

 

 

@SpringBootTest
public class Provid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oviderRepository providerRepository;

    @Autowired
    ProducerRepositoryTest product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void orphanRemovalTest(){
        Provider provider = saveProvider("new provider");

        Product product1 = saveProduct("동글펜", 400, 1000);
        Product product2 = saveProduct("네모 공책", 200, 200);
        Product product3 = saveProduct("지우개", 300, 1400);

        product1.setProvider(provider);
        product2.setProvider(provider);
        product3.setProvider(provider);

        provider.getProductList().addAll(Lists.newArrayList(product1, product2, product3));

        providerRepository.saveAndFlush(provider);
        
        providerRepository.findAll().forEach(System.out::println);
        productRepository.findAll().forEach(System.out::println);
        
        Provider foundProvider = providerRepository.findById(1L).get();
        foundProvider.getProductList().remove(0);

        providerRepository.findAll().forEach(System.out::println);
        productRepository.findAll().forEach(System.out::println);

    }

    private Product saveProduct(String name, Integer price, Integer stock){

        Product product = new Product();
        product.setName(name);
        product.setPrice(price);
        product.setStock(stock);

        return  product;
    }

    private Provider saveProvider(String name){

        Provider provider = new Provider();

        provider.setName(name);

        return  provider;
    }
}

 

먼저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한 후, 연관관계 매핑을 수행합니다. 연관관계가 매핑된 각 엔티티들을 저장한 후 각 엔티티를 출력하면 공급업체 엔티티 1개, 상품 엔티티 3개가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아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공급업체 엔티티를 가져온 후 첫 번째로 매핑돼 있는 상품 엔티티의 연관관계를 제거했습니다. 그리고 전체 조회 코드를 수행하면 연관관계가 끊긴 상품의 엔티티가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7 정리

 

이번 장에서는 연관관계를 설정하는 방법과 영속성 전이라는 개념을 알아봤습니다. JPA를 사용할 때 영속이라는 개념은 매우 중요합니다. 코드를 통해 편리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중간에서 엔티티의 상태를 조율하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하이버네이트를 직접 사용하는 것과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 데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하이버네이트만 사용하는 JPA도 함께 공부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JPA 자체를 그대로 다뤄보는 경험을 해보면 DAO와 리포지토리의 차이에 대해서도 더 알 수 있게 되고 스프링 부트 JPA에 대해서도 좀 더 폭넓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QUIZ

1. 연관 관계가 설정되면 한 테이블에서 다른 테이블의 기본값을 ( 외래키 )로 갖게 되며, 일반적으로 ( 외래키 )를 가진 테이블이 그 관계의 ( 주인 )이 된다. 
2. @( JoinColum ) 어노테이션을 사용해 매핑할 외래키를 설정하고, name 속성을 통해 원하는 칼럼명을 지정할 수 있다. 
3.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엔티티도 함께 조회하는 것을 ( 즉시로딩 )이라고 한다. 
4. 엔티티는 양방향으로 매핑할 때, 한쪽에게만 외래키를 줘야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속성 값이 ( mappedBy )이며, 이 속성에 들어가는 값은 연관관계를 갖고 있는 상대 엔티티에 있는 ( 연관관계 필드의 이름 )이 된다.
5. 다대다 연관관계에서는 각 엔티티에서 서로를 ( 리스트 )로 가지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 교차 엔티티 )라고 부르는 중간 테이블을 생성해서 다대다 관계를 ( 일대다 ) 또는 ( 다대일 ) 관계로 해소합니다.
6. 영속성 전이에 사용되는 타입은 ( 엔티티 생명주기 )와 연관이 있으며,  cascade() 요소의 리턴 타입은 ( 배열 ) 형식입니다.
7. JPA에서 ( 고아(orphan) )란 부모 엔티티와 연관관계가 끊어진 엔티티를 의미합니다. JPA에는 이러한 ( 고아 객체 )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8, 9. 빈칸에 들어갈 코드를 작성하세요.

// 8번

@Entity
@Table(name = "product_detail")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Detail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description;

    // **** 빈칸 ****
    private Product product;
}
// 9번

@Entity
@Table(name="categor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
public class Categor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unique = true)
    private String code;

    private String name;

    // **** 빈칸 ****
    private List<Product> products = new ArrayList<>();
}

 

 

 


 

 

정답

 

// 8번

@Entity
@Table(name = "product_detail")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callSuper = true)
public class ProductDetail extends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description;

    @OneToOne
    @JoinColumn(name = "product_number")
    private Product product;
}
// 9번

@Entity
@Table(name="categor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
public class Categor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Column(unique = true)
    private String code;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fetch = FetchType.EAGER)
    @JoinColumn(name = "category_id")
    private List<Product> products = new ArrayList<>();
}

[출처] 장정우, 스프링 부트 핵심 가이드』, 위키북스(2022), p.159-207.

Corner Spring 2

Editor : 이조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