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는 HTTP 메서드를 활용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외부 요청을 받아 응답하는 기능을 컨트롤러에서 어떻게 구현하는지 살펴봅니다.
GET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값을 가져올 때 사용됩니다. 이번 장에서는 다양한 GET API 구현 방법을 다룹니다.
@RequestMapping은 메서드에 요청 URL과 HTTP 메서드(GET, POST 등)를 매핑합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get-api")
public class GetController {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hello
@RequestMapping(value = "/hello",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getHello() {
return "Hello World";
}
}
매개변수를 받지 않는 간단한 GET API 구현: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name
@GetMapping(value =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Flature";
}
요청을 보내면 응답 값 "Flature"를 반환합니다.
URL 경로에서 값을 추출하여 매개변수로 받습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variable1/{value}
@GetMapping(value = "/variable1/{variable}")
public String getVariable1(@PathVariable String variable) {
return variable;
}
변수 이름 매핑이 다른 경우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variable2/{value}
@GetMapping(value = "/variable2/{variable}")
public String getVariable2(@PathVariable(value = "variable") String var) {
return var;
}
@PathVariable의 value 속성을 활용해 변수명 매핑
쿼리스트링(Query String)으로 데이터를 전달받습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request1?name=value1&email=value2&organization=value3
@GetMapping(value = "/request1")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1(
@RequestParam String name,
@RequestParam String email,
@RequestParam String organization) {
return name + " " + email + " " + organization;
}
쿼리스트링의 키-값 쌍이 유동적인 경우 Map을 활용합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request2?key1=value1&key2=value2
@GetMapping(value = "/request2")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2(@RequestParam Map<String, String> param)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aram.forEach((key, value) -> {
sb.append(key).append(" : ").append(value).append("\n");
});
return sb.toString();
}
DTO(Data Transfer Object)는 레이어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주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설계되며, 비즈니스 로직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DTO는 데이터 교환 외의 용도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로직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DTO와 VO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개념의 혼동을 줄이기 위해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ubl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email;
private String organization;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Email() {
return email;
}
public void setEmail(String email) {
this.email = email;
}
public String getOrganization() {
return organization;
}
public void setOrganization(String organization) {
this.organization = organization;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MemberDto{" +
"name='" + name + '\'' +
", email='" + email + '\'' +
", organization='" + organization + '\'' +
'}';
}
}
DTO를 활용해 클라이언트에서 전달받은 쿼리스트링 데이터를 매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TO 객체를 활용한 GET 메서드 구현
@GetMapping(value = "/request3")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3(MemberDto memberDto) {
return memberDto.toString();
}
DTO 객체의 toString()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가 반환됩니다.
POST API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달하여 저장소에 추가하거나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GET API와 달리 데이터를 URL이 아닌 HTTP Body에 담아 전달합니다.
컨트롤러 클래스에서 URL 설정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post-api")
public class PostController {
}
(1) @RequestMapping을 사용한 구현
@RequestMapping(value = "/domain", method = 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postExample() {
return "Hello Post API";
}
(2) @RequestBody와 Map을 활용한 POST 메서드 구현
@PostMapping(value = "/member")
public String postMember(@RequestBody Map<String, Object> postData)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ostData.entrySet().forEach(map -> {
sb.append(map.getKey()).append(" : ").append(map.getValue()).append("\n");
});
return sb.toString();
}
(3) DTO 객체를 활용한 POST 메서드 구현
@PostMapping(value = "/member2")
public String postMemberDto(@RequestBody MemberDto memberDto) {
return memberDto.toString();
}
PUT API는 서버에 있는 리소스를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POST API와는 목적이 다르며, 기존 리소스의 값을 변경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PUT API를 구현하는 방법은 POST API와 거의 동일하지만, 주로 업데이트 작업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PutController 클래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put-api")
public class PutController {
}
이 클래스는 PUT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설정된 컨트롤러입니다. @RestController와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URL과 메서드 매핑을 설정합니다.
@PutMapping(value = "/member")
public String postMember(@RequestBody Map<String, Object> putData)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tData.entrySet().forEach(map -> {
sb.append(map.getKey() + " : " + map.getValue() + "\n");
});
return sb.toString();
}
이 코드는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Body 데이터를 받아 Map 형태로 처리합니다. Map 객체를 사용하면 요청으로 전달된 값들을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StringBuilder를 활용해 각 key-value를 조합한 결과를 반환합니다.
DTO 객체를 활용한 PUT 메서드
@PutMapping(value = "/member1")
public String postMemberDto1(@RequestBody MemberDto memberDto) {
return memberDto.toString();
}
postMemberDto1: 요청 데이터를 MemberDto 객체로 매핑하고 toString() 결과를 반환
@PutMapping(value = "/member2")
public MemberDto postMemberDto2(@RequestBody MemberDto memberDto) {
return memberDto;
}
postMemberDto2: 요청 데이터를 MemberDto로 매핑한 후 그대로 반환
ResponseEntity 클래스는 HTTP 응답을 구성할 때 유용합니다. 이 클래스는 HTTP 상태 코드와 헤더를 설정할 수 있어, PUT API 구현 시 더 정교한 응답 구성이 가능합니다.
ResponseEntity 클래스 구조
public class ResponseEntity<T> extends HttpEntity<T> {
private final Object status;
...
}
이 클래스는 HttpEntity를 상속하며, Body와 Headers를 가집니다. 이를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달할 응답 메시지를 더 세밀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ResponseEntity를 활용한 PUT 메서드
@PutMapping(value = "/member3")
public ResponseEntity<MemberDto> postMemberDto3(@RequestBody MemberDto memberDto) {
return ResponseEntity
.status(HttpStatus.ACCEPTED)
.body(memberDto);
}
위 메서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DELETE API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삭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는 DELETE 요청을 통해 서버에서 리소스를 삭제하도록 요청할 수 있습니다. DELETE 메서드는 URI의 값을 받아 서버에서 삭제 작업을 수행합니다.
DeleteController 클래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delete-api")
public class DeleteController {
}
@PathVariable: URI 경로에 포함된 값을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delete-api/{value}
@DeleteMapping(value = "/{variable}")
public String DeleteVariable(@PathVariable String variable) {
return variable;
}
@RequestParam: 쿼리 스트링의 값을 매개변수로 받아 로직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delete-api/request1?email=value
@DeleteMapping(value = "/request1")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1(@RequestParam String email) {
return "e-mail : " + email;
}
API 개발 시 명세 문서를 작성하면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명세 문서를 수동으로 작성하면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오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wagger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Swagger 의존성 추가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io.springfox</groupId>
<artifactId>springfox-swagger2</artifactId>
<version>2.9.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io.springfox</groupId>
<artifactId>springfox-swagger-ui</artifactId>
<version>2.9.2</version>
</dependency>
</dependencies>
SwaggerConfiguration 클래스는 설정(Configuration)에 관련된 코드를 작성합니다.
@Configuration
@EnableSwagger2
public class SwaggerConfiguration {
@Bean
public Docket api() {
return new Docket(DocumentationType.SWAGGER_2)
.apiInfo(apiInfo())
.select()
.apis(RequestHandlerSelectors.basePackage("com.springboot.api"))
.paths(PathSelectors.any())
.build();
}
private ApiInfo apiInfo() {
return new ApiInfoBuilder()
.title("Spring Boot Open API Test with Swagger")
.description("설명 부분")
.version("1.0.0")
.build();
}
}
Swagger 설정을 완료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브라우저를 통해 Swagger UI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localhost:8080/swagger-ui.html에서 Swagger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wagger를 더욱 활용하기 위해 작성한 API 중 @RequestParam을 사용하는 GET 메서드의 명세를 작성합니다. GetController에 작성된 메서드를 기반으로 명세를 추가해 봅니다.
@ApiOperation(value = "GET 메서드 예제", notes = "@RequestParam을 활용한 GET Method")
@GetMapping(value = "/request1")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1(
@ApiParam(value = "이름", required = true) @RequestParam String name,
@ApiParam(value = "이메일", required = true) @RequestParam String email,
@ApiParam(value = "회사", required = true) @RequestParam String organization) {
return name + " " + email + " " + organization;
}
Swagger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어노테이션을 적용합니다:
작성된 Swagger 명세를 기반으로 API의 세부 내용을 Swagger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wagger에서는 단순히 API 명세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통신 테스트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앞선 단계에서는 Talend API Tester를 사용하여 API 요청 및 테스트를 진행했지만, Swagger를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Swagger는 UI를 제공하며, 별도 툴 없이도 API 문서화 및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로깅은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발생하는 시스템 상태와 정보를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로그는 디버깅 시 문제를 해결하거나 원인을 분석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Spring Boot는 Logback 프레임워크를 기본적으로 사용합니다.
Logback 설정 파일에서 출력 형식, 로그 레벨 등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Logback을 설정하기 위해 설정 파일을 작성합니다. 일반적으로 classpath에 있는 설정 파일을 자동으로 참조하도록 설정됩니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보통 logback-spring.xml 파일을 사용하며, 설정 파일의 추가는 다음 사진과 같습니다.
Logback 설정 파일은 XML 형식으로 작성됩니다. 아래는 설정 파일의 예시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property name="LOG_PATH" value="./logs"/>
<!-- Appenders -->
<appender name="console"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filter class="ch.qos.logback.classic.filter.ThresholdFilter">
<level>INFO</level>
</filter>
<encoder>
<pattern>%d{yyyy-MM-dd HH:mm:ss.SSS} [%5level] [%thread] %logger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appender name="INFO_LOG"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filter class="ch.qos.logback.classic.filter.ThresholdFilter">
<level>INFO</level>
</filter>
<file>${LOG_PATH}/info.log</file>
<append>true</append>
<roll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TimeBasedRollingPolicy">
<fileNamePattern>${LOG_PATH}/info_%d{yyyy-MM-dd}.gz</fileNamePattern>
<maxHistory>30</maxHistory>
</rollingPolicy>
<encoder>
<pattern>%d{yyyy-MM-dd HH:mm:ss.SSS} [%5level] [%thread] %logger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 Root Logger -->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INFO_LOG"/>
</root>
</configuration>
설정 파일의 주요 영역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Appender는 로그의 출력 방식을 설정하는 영역으로, 다양한 구현체가 있습니다:
예제에서 사용된 Appender는 다음과 같습니다:
<appender name="console"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filter class="ch.qos.logback.classic.filter.ThresholdFilter">
<level>INFO</level>
</filter>
<encoder>
<pattern>%d{yyyy-MM-dd HH:mm:ss.SSS} [%5level] [%thread] %logger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appender name="INFO_LOG"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filter class="ch.qos.logback.classic.filter.ThresholdFilter">
<level>INFO</level>
</filter>
<encoder>
<pattern>%d{yyyy-MM-dd HH:mm:ss.SSS} [%5level] [%thread] %logger %msg%n</pattern>
</encoder>
</appender>
Pattern은 로그의 메시지 출력 형식을 정의합니다. 자주 사용되는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패턴 | 의미 |
%Logger{length} | 로거의 이름 |
%-5lebel | 로그 레벨. -5는 출력 고정폭의 값 |
%msg(%message) | 로그 메시지 |
%d | 로그 기록 시간 |
%p | 로깅 레벨 |
%F | 로깅이 발생한 애플리케이션 파일명 |
%M | 로깅이 발생한 메서드 이름 |
%I | 로깅이 발생한 호출지의 정보 |
%thread | 현재 스레드명 |
%t | 로깅이 발생한 스레드명 |
%c | 로깅이 발생한 카테고리 |
%C | 로깅이 발생한 클래스명 |
%m | 로그 메시지 |
%n | 줄바꿈 |
%r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후 로깅이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
%L | 로깅이 발생한 호출 지점의 라인 수 |
예제 패턴:
%pattern>%d{yyyy-MM-dd HH:mm:ss.SSS} [%5level] [%thread] %logger %msg%n</pattern>
Root 영역
Root 영역은 기본 로그 레벨과 Appender를 설정합니다. 모든 로그의 기본값으로 사용되며, 별도 설정이 없을 경우 Root 설정을 따릅니다.
<root level="INFO">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INFO_LOG"/>
</root>
Logger 영역
Logger 영역은 특정 패키지나 클래스의 별도 로그 설정을 정의합니다.
<logger name="com.springboot.api.controller" level="DEBUG"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INFO_LOG"/>
</logger>
GetController 클래스에서 Logger 객체를 정의하여 사용합니다.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api/v1/get-api")
public class GetController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GetController.class);
// (후략)
}
API 호출 시 로그를 남기도록 설정했습니다.
예제 5.27 로그 출력 코드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hello
@RequestMapping(value = "/hello", method = RequestMethod.GET)
public String getHello() {
LOGGER.info("getHello 메서드가 호출되었습니다.");
return "Hello World";
}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name
@GetMapping(value = "/name")
public String getName() {
LOGGER.info("getName 메서드가 호출되었습니다.");
return "Flature";
}
Swagger에서 'hello'와 'name' API를 테스트한 후, 로그를 확인합니다.
PathVariable로 전달받은 변수값을 Logger로 출력합니다.
// http://localhost:8080/api/v1/get-api/variable1/{String 값}
@GetMapping(value = "/variable1/{variable}")
public String getVariable1(@PathVariable String variable) {
LOGGER.info("@PathVariable 값: {}", variable);
return variable;
}
Swagger에서 'Wikibooks' 입력 후, 로그에 출력된 값을 확인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여기서는 MariaDB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MariaDB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설치 파일을 받습니다.
버전이 다르면 [Display older releases]를 체크해 10.6.5로 맞춥니다. 파일 다운로드 후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HeidiSQL은 데이터베이스 접속과 관리를 위한 GUI 도구입니다. 실행 후 초기 화면이 나타납니다.
CREATE DATABASE springboot;
생성이 완료되면 springboot 데이터베이스가 추가됩니다.
persistence.xml
<persistence xmlns="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
http://xmlns.jcp.org/xml/ns/persistence/persistence_2_1.xsd"
version="2.1">
<persistence-unit name="entity_manager_factory" transaction-type="RESOURCE_LOCAL">
<properties>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driver" value="org.mariadb.jdbc.Driver"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ser" value="root"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password" value="password" />
<property name="javax.persistence.jdbc.url" value="jdbc:mariadb://localhost:3306/springboot" />
<property name="hibernate.dialect" value="org.hibernate.dialect.MariaDB103Dialect" />
<property name="hibernate.show_sql" value="true" />
<property name="hibernate.format_sql" value="true" />
</properties>
</persistence-unit>
</persistence>
엔티티 객체는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4가지 상태로 나뉩니다.
@GetMapping(value = "/request")
public String getRequestParam(
@RequestParam String name,
@RequestParam String email,
@RequestParam String organization) {
return "Name: " + name + ", Email: " + email + ", Organization: " + organization;
}
@PostMapping(value = "/member")
public String postMemberDto(@RequestBody MemberDto memberDto) {
return "Received Member Info: " + memberDto.toString();
}
[출처] 장정우, 「스프링부트 핵심 가이드」 5장 ~ 6.5.2장
Corner Spring 3
ⓒ Hetbahn
[스프링 3팀] 6장. 데이터베이스 연동 (1) | 2024.11.29 |
---|---|
[스프링 3팀] 1장~4장. 스프링 부트 개발 환경과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2) | 2024.11.14 |
[스프링 3팀] 스프링 입문 섹션 7~8 (2) | 2024.11.07 |
[스프링 3팀] 스프링 입문 섹션 5~6 (0) | 2024.10.11 |
[스프링 3팀] 스프링 입문 섹션 4 (0)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