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oks는 리액트 v16.8에 새로 도입된 기능으로, 기존의 함수 컴포넌트에서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작업(함수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useState, 렌더링 직후 작업을 설정하는 useEffect)을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번 실습은 우선 리액트 내장 Hooks를 사용하고 다음으로 커스텀 Hooks를 만드는 흐름으로 진행하겠습니다.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create-react-app을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주세요.
$ yarn create react-app hooks-tutorial
3장에서도 사용해 보았던 useState는 가장 기본적인 Hook이며, 함수 컴포넌트에서도 가변적인 상태를 지닐 수 있게 해 줍니다. 만약 함수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해야한다면, 이 Hook을 사용하면 됩니다.
useState 기능을 사용해서 숫자 카운터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src 디렉터리에 Counter.js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 코드를 작성합니다.
// Counter.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unter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0); // 기본값: 0
return (
<div>
<p>
현재 카운터 값은 <b>{value}</b>입니다.
</p>
<button onClick={()=> setValue(value + 1)}>+1</button>
<button onClick={()=> setValue(value - 1)}>-1</button>
</div>
);
};
export default Counter;
useState 힘수의 파라미터에는 상태의 기본값을 넣어 줍니다. 이 함수가 호출되면 배열을 반환하는데, 그 배열의 첫 번째 원소는 상태 값, 두 번째 원소는 상태를 설정하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에 파라미터를 넣어서 호출하면 전달받은 파라미터로 값이 바뀌고 컴포넌트가 정상적으로 리렌더링됩니다.
다음으로 App 컴포넌트를 열어서 기존에 보여 주던 내용을 다 지우고 Counter 컴포넌트를 렌더링합니다.
// App.js
import Counter from './Counter';
const App = () => {
return <Counter />;
};
export default App;
하나의 useState 함수는 하나의 상태 값만 관리할 수 있고, 컴포넌트에서 관리해야 할 상태가 여러 개라면 useState를 여러 번 사용해야 합니다.
src 디렉터리에 Info.js 파일을 생성하여 다음 코드를 작성합니다. 다음으로 App 컴포넌트에서 이 컴포넌트를 렌더링해 보세요.
// Info.js
import React, {useState} from "react";
const Info= ()=>{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 기본값: ''
const [nickname, setNickname] = useState(''); // 기본값: ''
const onChangeName = e=>{
setName(e.target.value);
}
const onChangeNickname = e => {
setNickname(e.target.value);
}
return (
<div>
<div>
<input value={name} onChange={onChangeName} />
<input value={nickname} onChange={onChangeNickname}/>
</div>
<div>
<div>
<b>이름:</b> {name}
</div>
<div>
<b>닉네임:</b> {nickname}
</div>
</div>
</div>
);
};
export default Info;
// App.js
import Info from './Info';
const App = () => {
return <Info />;
};
export default App;
useState를 두 번 사용하여 name과 nickname의 상태값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useEffect는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입니다.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componentDidMount와 componentDidUpdate를 합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Info 컴포넌트에 useEffect를 적용해 보겠습니다.
// Info.js
import {useState, useEffect} from 'react';
const Info = () => {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const [nickname, setNickname] = useState('');
useEffect(()=>{
console.log('렌더링이 완료되었습니다!');
console.log({
name,
nickname
});
});
const onChangeName = e => {
setName(e.target.value);
};
const onChangeNickname = e => {
setNickname(e.target.value);
};
return (
(...)
);
};
export default Info;
useEffect에서 설정한 함수를 컴포넌트가 화면에 맨 처음 렌더링될 때만 실행하고, 업데이트될 때는 실행하지 않으려면 함수의 두 번째 파라미터로 비어 있는 배열을 넣어주면 됩니다.
// Info.js - useEffect
useEffect(() => {
console.log('마운트될 때만 실행됩니다.');
}, []);
컴포넌트가 처음 나타날 때만 콘솔에 문구가 나타나고, 그 이후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useEffect를 사용할 때, 특정 값이 변경될 때만 호출하고 싶다면 useEffect의 두 번째 파라미터로 전달되는 배열 안에 검사하고 싶은 값을 넣어 주면 됩니다.
배열 안에는 useState를 통해 관리하는 상태를 넣어 주어도 되고, props로 전달받는 값을 넣어 주어도 됩니다.
// Info.js - useEffect
useEffect(()=>{
console.log(name);
}, [name]);
useEffect는 기본적으로 렌더링되고 난 직후마다 실행되며, 두 번째 파라미터 배열에 무엇을 넣는지에 따라 실행되는 조건이 달라집니다.
컴포넌트가 언마운트되기 전이나 업데이트되기 직전에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 싶다면 useEffect에서 뒷정리(cleanup)함수를 반환해 주어야 합니다.
// Info.js - useEffect
useEffect(()=>{
console.log('effect');
console.log(name);
return () => {
console.log('cleanup');
console.log(name);
}
}, [name]);
이번에는 App 컴포넌트에서 Info 컴포넌트의 가시성을 바꿀 수 있게 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도 useState를 사용하여 상태를 관리하겠습니다.
// App.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Info from "./Info";
const App = () => {
const [visible, setVisible] = useState(false);
return (
<div>
<button
onClick={() => {
setVisible(!visible);
}}
>
{visible ? '숨기기' : '보이기'}
</button>
<hr/>
{visible && <Info/>}
</div>
);
};
export default App;
보이기/숨기기 버튼을 불러보면, 컴포넌트가 나타날 때 콘솔에 effect가 나타나고, 사라질 때 cleanup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인풋에 이름을 적어보면, 렌더링될 때마다 뒷정리 함수가 계속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뒷정리 함수가 호출될 때는 업데이트 되기 직전의 값을 보여줍니다.
오직 언마운트될 때만 뒷정리 함수를 호출하고 싶다면 useEffect 함수의 두 번째 파라미터에 비어있는 배열을 넣으면 됩니다.
useReducer는 useState보다 더 다양한 컴포넌트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상태를 다른 값으로 업데이트해 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Hook입니다. 리듀서(reducer)라는 개념은 17장의 리덕스를 배울 때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듀서는 현재 상태, 그리고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담은 액션(action) 값을 전달받아 새로운 상태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리듀서 함수에서 새로운 상태를 만들 때는 반드시 불변성을 지켜주어야 합니다.
17장에서 다룰 리덕스에서 사용하는 액션 객체에는 어떤 액션인지 알려 주는 type 필드가 꼭 있어야 하지만, useReducer에서 사용하는 액션 객체는 반드시 type을 지니고 있을 필요가 없고, 객체가 아니라 문자열이나 숫자여도 상관없습니다.
먼저 useReducer를 사용하여 기존의 Counter 컴포넌트를 다시 구현합니다.
// Counter.js
import React, { useReducer } from "react";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action, type에 따라 다른 작업 수행
switch (action.type){
case 'INCREMENT':
return {value:state.value+1};
case 'DECREMENT':
return {value:state.value-1};
default:
// 아무것도 해당하지 않을 때 기존 상태 반환
return state;
}
}
const Counter = ()=>{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value:0});
return (
<div>
<p>
현재 카운터 값은 <b>{state.value}</b>입니다.
</p>
<button onClick={()=>dispatch({type:'INCREMENT'})}>+1</button>
<button onClick={()=>dispatch({type:'DECREMENT'})}>-1</button>
</div>
);
};
export default Counter;
useReducer의 첫 번째 파라미터에는 리듀서 함수를 넣고,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해당 리듀서의 기본값을 넣어줍니다. 이 Hook을 사용하면 state 값과 dispatch 함수를 받아오는데, state는 현재 가리키고 있는 상태고, dispatch는 액션을 발생시키는 함수입니다. dispatch(action)과 같은 형태로, 함수 안에 파라미터로 액션 값을 넣어 주면 리듀서 함수가 호출되는 구조입니다.
useReducer를 사용했을 때의 가장 큰 장점은 컴포넌트 업데이트 로직을 컴포넌트 바깥으로 빼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 App.js
import Counter from './Counter';
const App = () => {
return <Counter />;
};
export default App;
App에서 Counter를 다시 렌더링해 주면 브라우저에서 +1/-1 버튼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인풋이 여러 개일 때는 useState를 여러 번 사용했지만, useReducer를 사용하면 기존에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 input 태그에 name 값을 할당하고 e.target.name을 참조하여 setState를 해준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Info 컴포넌트를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App에서 Info 컴포넌트를 렌더링합니다.
// Info.js
import React, { useReducer } from 'react';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return {
...state,
[action.name]:action.value
};
}
const Info =()=>{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
name:'',
nickname:''
});
const {name, nickname} = state;
const onChange = e => {
dispatch(e.target);
};
return (
<div>
<div>
<input name="name" value={name} onChange={onChange}/>
<input name="nickname" value={nickname} onChange={onChange}/>
</div>
<div>
<div>
<b>이름: </b> {name}
</div>
<div>
<b>닉네임: </b>
{nickname}
</div>
</div>
</div>
);
};
export default Info;
// App.js
import Info from './Info';
const App = () => {
return <Info />;
};
export default App;
useReducer에서의 액션은 그 어떤 값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벤트 객체가 지니고 있는 e.target 값 자체를 액션 값으로 사용했습니다. 이런 식으로 인풋을 관리하면 아무리 인풋의 개수가 많아져도 코드를 짧고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useMemo를 사용하면 함수 컴포넌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산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먼저 리스트에 숫자를 추가하면 추가된 숫자들의 평균을 보여 주는 함수 컴포넌트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src 디렉터리에 Average.js 파일을 생성하고, App에서 이 컴포넌트를 렌더링합니다.
// Average.js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getAverage = numbers => {
console.log('평균값 계산 중..');
if(numbers.length === 0 ) return 0;
const sum = numbers.reduce((a,b)=>a+b);
return sum/numbers.length;
};
const Average = ()=>{
const [list, setList] =useState([]);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
const onChange = e => {
setNumber(e.target.value);
}
const onInsert = e => {
const nextList = list.concat(parseInt(number));
setList(nextList);
setNumber('');
}
return (
<div>
<input value={number} onChange={onChange}/>
<button onClick={onInsert}>등록</button>
<ul>
{list.map((value, index)=>(
<li key={index}>{value}</li>
))}
</ul>
<div>
<b>평균값:</b> {getAverage(list)}
</div>
</div>
);
};
export default Average;
// App.js
import Average from './Average';
const App = () => {
return <Average/>;
};
export default App;
브라우저에 숫자를 등록해 보면 평균값은 잘 나타납니다. 그런데 숫자를 등록할 때뿐만 아니라 인풋 내용이 수정될 때도 우리가 만든 getAverage 함수가 호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풋 내용이 바뀔 때는 평균값을 다시 계산할 필요가 없는데, 이렇게 렌더링할 때마다 계산하는 것은 낭비입니다.
useMemo Hook을 사용하면 이러한 작업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특정 값이 바뀌었을 때만 연산을 실행하고, 원하는 값이 바뀌지 않았다면 이전에 연산했던 결과를 다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보겠습니다.
// Average.js
import { useState, useMemo } from "react";
const getAverage = numbers => {
console.log('평균값 계산 중..');
if(numbers.length === 0 ) return 0;
const sum = numbers.reduce((a,b)=>a+b);
return sum/numbers.length;
};
const Average = ()=>{
const [list, setList] =useState([]);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
const onChange = e => {
setNumber(e.target.value);
}
const onInsert = () => {
const nextList = list.concat(parseInt(number));
setList(nextList);
setNumber('');
}
const avg = useMemo(()=>getAverage(list), [list]);
return (
<div>
<input value={number} onChange={onChange}/>
<button onClick={onInsert}>등록</button>
<ul>
{list.map((value, index)=>(
<li key={index}>{value}</li>
))}
</ul>
<div>
<b>평균값:</b> {avg}
</div>
</div>
);
};
export default Average;
이제 list 배열의 내용이 바뀔 때만 getAverage 함수가 호출됩니다.
useCallback은 useMemo와 상당히 비슷한 함수로, 주로 렌더링 성능을 최적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이 Hook을 사용하면 만들어 놨던 함수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방금 구현한 Average 컴포넌트를 보면, onChange와 onInsert 함수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될 때마다 새로 만들어진 함수를 사용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방식은 문제없지만, 컴포넌트의 렌더링이 자주 발생하거나 렌더링해야 할 컴포넌트의 개수가 많아지면 이 부분을 최적화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Average.js
import { useState, useMemo, useCallback } from "react";
const getAverage = numbers => {
console.log('평균값 계산 중..');
if(numbers.length === 0 ) return 0;
const sum = numbers.reduce((a,b)=>a+b);
return sum/numbers.length;
};
const Average = ()=> {
const [list, setList] =useState([]);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
const onChange = useCallback( e => {
setNumber(e.target.value);
}, []); //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만 함수 생성
const onInsert = useCallback(e => {
const nextList = list.concat(parseInt(number));
setList(nextList);
setNumber('');
}, [number, list]); // number 혹은 list가 바뀌었을 때만 함수 생성
const avg = useMemo(()=>getAverage(list), [list]);
return (
<div>
<input value={number} onChange={onChange}/>
<button onClick={onInsert}>등록</button>
<ul>
{list.map((value, index)=>(
<li key={index}>{value}</li>
))}
</ul>
<div>
<b>평균값:</b> {avg}
</div>
</div>
);
};
export default Average;
useCallback의 첫 번째 파라미터에는 생성하고 싶은 함수를 넣고, 두 번째 파라미터에는 배열을 넣으면 됩니다. 이 배열에는 어떤 값이 바뀌었을 때 함수를 새로 생성해야 하는지 명시해야 합니다.
함수 내부에서 상태 값에 의존해야 할 때는 그 값을 반드시 두 번째 파라미터 안에 포함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onChange의 경우 기존의 값을 조회하지 않고 바로 설정만 하므로 배열이 비어 있어도 상관없지만, onInsert는 기존의 number와 list를 조회해서 nextList를 생성하기 때문에 배열 안에 number와 list를 꼭 넣어 주어야 합니다.
useRef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f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Average 컴포넌트에서 등록 버튼을 눌렀을 때 포커스가 인풋 쪽으로 넘어가도록 코드를 작성하겠습니다.
// Average.js
import { useState, useMemo, useCallback, useRef } from "react";
const getAverage = numbers => {
console.log('평균값 계산 중..');
if(numbers.length === 0 ) return 0;
const sum = numbers.reduce((a,b)=>a+b);
return sum/numbers.length;
};
const Average = ()=> {
const [list, setList] =useState([]);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
const inputEl = useRef(null);
const onChange = useCallback( e => {
setNumber(e.target.value);
}, []); //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될 때만 함수 생성
const onInsert = useCallback(e => {
const nextList = list.concat(parseInt(number));
setList(nextList);
setNumber('');
inputEl.current.focus();
}, [number, list]); // number 혹은 list가 바뀌었을 때만 함수 생성
const avg = useMemo(()=>getAverage(list), [list]);
return (
<div>
<input value={number} onChange={onChange} ref={inputEl}/>
<button onClick={onInsert}>등록</button>
<ul>
{list.map((value, index)=>(
<li key={index}>{value}</li>
))}
</ul>
<div>
<b>평균값:</b> {avg}
</div>
</div>
);
};
export default Average;
useRef를 사용하여 ref를 설정하면 useRef를 통해 만든 객체 안의 current 값이 실제 요소를 가리킵니다.
추가로 컴포넌트 로컬 변수를 사용해야 할 때도 useRef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로컬 변수란 렌더링과 상관없이 바뀔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 로컬 변수 함수 컴포넌트 예시
import React, { useRef } from "react";
const RefSample = () => {
const id = useRef(1);
const setId = (n) => {
id.current = n;
}
const printId = () => {
console.log(id.current);
}
return (
<div>
refsample
</div>
);
};
export default RefSample;
이렇게 ref 안의 값이 바뀌어도 컴포넌트가 렌더링되지 않는다는 점에는 주의해야 합니다. 렌더링과 관련되지 않은 값을 관리할 때만 이러한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길 바랍니다.
여러 컴포넌트에서 비슷한 기능을 공유할 경우, 이를 Hook으로 작성하여 로직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Info 컴포넌트에서 여러 개의 인풋을 관리하기 위해 useReducer로 작성했던 로직을 useInputs라는 Hook으로 따로 분리해 보겠습니다. src 디렉터리에 useInputs.js 파일을 만들고 다음 코드를 작성합니다.
// useInputs.js
import { useReducer } from 'react';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return {
...state,
[action.name]: action.value
};
}
export default function useInputs(initialForm){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initialForm);
const onChange = e =>{
dispatch(e.target);
}
return [state, onChange];
}
이 Hook을 Info 컴포넌트에서 사용하겠습니다.
// Info.js
import useInputs from './useInputs';
const Info =()=>{
const [state, onChange] = useInputs({
name:'',
nikname: ''
})
const {name, nickname} = state;
return (
<div>
<div>
<input name="name" value={name} onChange={onChange}/>
<input name="nickname" value={nickname} onChange={onChange}/>
</div>
<div>
<div>
<b>이름: </b> {name}
</div>
<div>
<b>닉네임: </b>
{nickname}
</div>
</div>
</div>
);
};
export default Info;
이번에 커스텀 Hooks를 만들어서 사용했던 것처럼, 다른 개발자가 만든 Hooks도 라이브러리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개발자가 만든 다양한 Hooks 리스트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에서 Hooks 패턴을 사용하면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작성하지 않고도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 매뉴얼에 따르면, 기존의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지원될 예정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젝트에서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를 굳이 함수 컴포넌트와 Hooks를 사용하는 형태로 전환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매뉴얼에서는 새로 작성하는 컴포넌트의 경우 함수형 컴포넌트와 Hooks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으니,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는 함수 컴포넌트의 사용을 우선시하시길 바랍니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은?
1. ( Hooks )는 리액트 v16.8에 새로 도입된 기능으로 함수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useState, 렌더링 직후 작업을 설정하는 useEffect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기존의 함수 컴포넌트에서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해 줍니다.
2. ( useState )는 가장 기본적인 Hook이며, 함수 컴포넌트에서도 가변적인 상태를 지닐 수 있게 해 줍니다.
3. ( useEffect )는 리액트 컴포넌트가 렌더링될 때마다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 Hook입니다.
4. ( useReducer )는 useState보다 더 다양한 컴포넌트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상태를 다른 값으로 업데이트해 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Hook입니다.
5. ( useMemo )를 사용하면 함수 컴포넌트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산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6. ( useCallback )은 렌더링 기능을 최적화하는 상황에서 사용하며, 이 Hook을 사용하면 만들어 놨던 함수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7. ( useRef ) Hook은 함수 컴포넌트에서 ref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줍니다. 이 Hook을 통해 만든 객체 안의 current 값이 실제 요소를 가리킵니다.
8.
다음 코드는 useState를 이용하여 *2, / 2 버튼을 구현한 코드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코드를 작성해 주세요.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unter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100);
return (
<div>
<p>
현재 카운터 값은 <b>{value}</b>입니다.
</p>
<button onClick=( )> * 2 </button>
<button onClick=( )> / 2 </button>
</div>
);
};
export default Counter;
9.
다음 코드는 useReducer를 사용하여 인풋 상태를 관리하는 코드입니다. 빈칸에 들어갈 코드를 작성해 주세요.
import React, { useReducer } from "react";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return {
...state,
[action.name]:action.value
};
}
const NewInfo = () => {
// 코드 작성
const { favfood, favcolor } = state;
const onChange = e=> {
dispatch(e.target);
};
return (
<div>
<div>
<input name="favfood" value={favfood} onChange={onChange} />
<input name="favcolor" value={favcolor} onChange={onChange} />
</div>
<div>
<div>
<b>가장 좋아하는 음식:</b> {favfood}
</div>
<div>
<b>가장 좋아하는 색깔:</b> {favcolor}
</div>
</div>
</div>
);
};
export default NewInfo;
코드 답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Counter = () => {
const [value, setValue] = useState(100);
return (
<div>
<p>
현재 카운터 값은 <b>{value}</b>입니다.
</p>
<button onClick={() => setValue(value*2)}> * 2 </button>
<button onClick={() => setValue(value/2)}> / 2 </button>
</div>
);
};
export default Counter;
const [state, dispatch] = useReducer(reducer, {
favfood: '',
favcolor: ''
});
Corner React3
Editor: 도담
[리액트 스타터3] 10장. 일정 관리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0) | 2022.12.22 |
---|---|
[리액트 스타터 3] 9장. 컴포넌트 스타일링 (0) | 2022.12.01 |
[리액트 스타터 3] 7장. 컴포넌트의 라이프 사이클 메서드 (0) | 2022.11.17 |
[리액트 스타터 3] 6장. 컴포넌트 반복 (0) | 2022.11.10 |
[리액트 스타터 3] 5장. ref (0) | 2022.11.05 |